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타계한, 일본 종군 강제 위안부 피해자들의 사진 모음 8

타계한 위안부들

by tl3659\0\0 2017. 6. 30. 10:02

본문

일본군의 종군 강제 위안부 피해자인, 김군자 할머님

 

타계한, 일본 종군 강제 위안부 피해자들의 사진 모음 8

 

 

 

메인이미지

 

박숙이 할머님

 

일본군의 종군 강제 위안부 피해자인 故 박숙이 할머님도, 향년 94

병원에 원해 청각 · 시각장애와 고혈압 등 지병으로 치료

받아오시다, 병세가 악화돼 2,016126

저녁 8시경, 그만 작고하셨었다고 한다.

  

1,923, 故 박숙이 할머님은 경남 남해군 고현면 관당마을에서 태어나, 16살

때 사촌언니와 함께 고현면 바닷가에 조개를 캐러 가던 길, 에 칼을

겨누던 본군인에게 영문도 모른 막무가내로 트럭에

, 해방이 될 때까지 중국 만주로 끌려가 무려 7년간

이나 지옥같은 고초를 겪으셨었다고 한다.

 

그 이후 故 박숙이 할머님은, 고향으로 돌아와 생활하시던 중 문병왔었던 영일 남

해군수가 소녀상 건립을 추진해, 남해읍 아산리 남해 여성인력 센터

앞 소공원 487㎡에 그 소녀상이 건립돼, 그 소녀상의 실제 주인

공이시기도 한 故 박숙이 할머님은, 지난 광복 70돌 때

평화의 소녀상 ’ 제막식을 열기도 .

 

한국 정신대 문제 대책 협의회은, 故 박숙이 할머님께서 생전에 “ 일본,

해자들에게 사과하 · 잘못했다고 빌어야 한다. 다시는,

쁜 짓하지 말아야 한다 ” 라고 말했다고 전했었다.

 

 또한 故 박숙이 할머님은, “ 남해 숙이공원 소녀상 아래 묻어

달라 ” 라고 유언을 남긴 것으로 전해졌었다.

 

 

故 박숙이 할머님은, 존재 그 자체로 질곡의 한국 근현

사 ‘ 증거 ’ 이자 ‘ 기억 ’ 의 증인이 됐었다.

 

영문도 모른 채 일본군에 끌려가 무참히 짓밟힌 증거였고, 반겨주지 않는 조

국에 돌아와 수십년의 세월을 견뎌내면서도, 일본의 만행을 세상에 알

리기 위해 강제연행을 스스로 기억해야만 하는 존재였었다.

 

그녀, 그렇게 살아왔었다.

박숙이 할머님이, “ 일본에, 빳빳하게 고개 들고 살아야 한다. 나라 없는 백,

마나 불쌍한지 아느냐? 공부 열심히 해서, 큰 인물이 되고 ·

라 만들어라 ” 라고 청소년들에게 말했던 이유이기도 했었다.

 

故 박숙이 할머님은, 마음으로 낳은 자식들을 기르고 · 청소년들에게 장

금을 내놓고 · 자신과 같은 처지의 위안부 피해자들의 명예회복

위해 평생을 바친 뒤, 한 그루 나무로 돌아갔었다.

 

해서, 자기 이름을 딴 숙이공원에 묻히고 싶다던 마지막 소원을

들어줄 수 없었던, 남은 사람들은 흐느껴 울었었다.

 

남해 숙이공원에서, 故 박숙이 할머님이 소녀상을 만져 보는 생전의 모습

 

故 박두리 할머님의 흉상

 

박두리 할머님

 

2,006219오후 620분께, 일본군의 종군 강제 위안부 피해자로

끌려가 온갖 고초를 겪으며 한많은 삶을 사셨던 故 박두리 할머님

향년 83세의 일기로, 끝내 생을 마감하셨었다고 한다.

 

정대협에 따르면, 故 박두리 할머님은 1,924 경남 밀양 출생으로 1,9

4017살에 진에서 공장에 취직시켜 준다는 말에 끌려가,

 대만에서 때까지 ‘ 성노예 ’ 생활을 하시면서 구

폭력 후유으로 인한 척추질환과

염 등을 앓으며, 절되는

정신· 육체적 고통을

겪으셨다고 한다.

 

특히 2,003부턴, 지병으로 계속적인 투병생활을 하시면서도 내일

데모 있제, 데모?라며, 일본 대사관 앞에서 리는 정신대

할머님들의 수요집회를 그리하신 것으로, 정대

협의 ‘ 병상일지 ’ 엔 기록돼 있다고 한다.

 

나눔의 집에서 기억하는 故 박두리 할머님의 애칭은, 청소반장이었다

  

김연희할머니.jpg

 

김연희

  

2,015 6 24, 일본군의 종군 강제 위안부 피해자인 김연희 님도

83세로 뇌혈관성 치매 등 노인성 질환으로 오랫동치료를 받았

, 에는 소화기능이 떨어져 식사를 하지 못하고 겨우 연

중 폐렴까지 심해져, 결국 사망하셨었다고 한다.

 

김연희 할머님은, 경북 대구 출신으로 12살이 되던 1,944年 초등학교 5학년

재학 중에 독립을 하던 부친이 중국으로 피신했다는 이유로, 일본

교장에, 도야마 현의 비행기 부속을 만드는

공장에서 9일을 하다가, 아오모리 현으로

끌려부 생활을 하셨었다고 한다.

 

김연희 할머님은, 광복 후 부산 · 서울 · 대구 등에서 주로 가사

도우미로 일하셨으며, 위안부 피해 당시 입었던 트라우마

로 인해 주변 사람들과 잘 어울리지도 못하고 · 결혼

못해 평생 홀로 보내신 것으로 전해졌었.

 

유족 측은, 서울 추모공원에서 화장을 한 후 천안 망향의

산에 안치할 계획이라고 밝혔었다고 한다.

 

 

 

故 박유년 할머님

  

2,0158 8 · · 새벽 3 25분경(한국시간), 미국의 애리조나주 메사츄

세츠에서 하시던 일본군의 종군 강제 위안부 피해자인 故 박유년

할머님, 93세에 사망하시어 운명을 달리하셨었다고 한다.

 

박유년 할머님은, 폐와 심장에 물이 차는 증세를 보이는 등 건강이 좋지

못해 4차례나 응급실에 입원하며, 위험한 고비를 여러 번 넘기시

다 결국 병세가 악화돼 돌아가시게 되셨었다고 한다.

 

일본군의 종군 강제 위안부 피해자로 1,9938정부에 등록된, 故 박유년 머님

1,922年 경남에서 태어나 당시 19살이던 1,941年 친구와 같이 부산에 놀

갔다가 일본군 원으로 가면 돈을 많이 벌 수 있다는 친구의

말에 속아 일본인에게 소개됐고, 한국여성 6명과 함께 중국

광동일본군의 ‘ 성노예 ’ 생활을 강요당했었다.

 

이후 박유년 할머님은, 광복되기 직전 싱가포르로 강제 이동

돼 계속 위안부 생활을 하시다 본 패전 후인 1,945

에야 겨우 고국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귀국 후엔, 고향으로 돌아가긴 돌아갔었으나 집에선 머물 수

없어 부산으로 나와 생활하시, 경기도 파주로 옮겨

물을 팔아 생계를 유지하셨었다고 한다.

 

그러다 2,007이후에는, 양아들이 생활하는 미국 애리조나주로 거

주지를 옮겨, 양아들 부부와 함께 생활하셨었다고 한다.

 

유족 측은, 집 가까운 공원에 안장할 계획이라고 밝혔었다고 한다.

 

김복동 독도는 우리땅.jpg

일본군의 종군 강제 위안부 피해자인, 김복동 할머님의 그림 - 독도는 우리땅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