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임긍수 - 초혼(招魂)

한국 가곡

by tl3659\0\0 2018. 2. 12. 22:14

본문

 

임긍수 - 초혼(招魂)

작시 : 故 김소월 · 작곡 : 임긍수

노래 : 김영선

 

 

 

산산히, 부서진 이름이여

허공(虛空) 중에 헤여진 이름이여

불러도, 대답 없는 이름이여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심중(心中)에, 남아 있는 말 한마디는

끝끝내, 마저 하지 못하였구나

사랑하던, 그 사람이어

 사랑하던,사람이어!

  

붉은 해는, 서산 마루에 걸리었다

사슴의 무리도 슬피 운다

떨어져 나가 앉은 산(山) 위에서

나는, 그대의 이름을 부르노라.

 

설움에 겹도록 부르노라

 설움에 겹도록 부르노라.

 

부르는 소리는 비껴가지만,

하늘과 땅 사이가 너무 멀구나

선 채로, 이 자리에 돌이 되어도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어.

 

사랑하던, 그 사람이어

 사랑하던,사람이어.

 

저녁하늘산마루에 걸리었다,

사슴의 무리도 슬피운다

떨어져 나가 앉은 산(山) 위에서

나는그대 이름 , 부르노라.

 

시인, 故 김소월의 초혼

 

진달래꽃 ’ 에서 처음 발표된 시다초혼(招魂)은 1,92512,김소월이 펴낸 시집인 ‘ .

임의 죽음으로 인한 슬픔과 그리움을 담고 초혼은,있다.

 

민요적 전통적 격정적애상적 성격을 가졌다시의 갈래는 서정시 · 자유시이며, · · · .

슬픔을 격정적으로 표현한 것이 7 · 5조의 3음보로 쓰였으며, 특징이다.

 

故 김소월이 표현하고 있는 헌데 이 시에서, 죽은

대상이 누구인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설움에 겹도록 부르고 있는 이 사랑하는 사람은 과연 그 故 김소월이, ,누구일까?

그 이름의 주인공은 故 김소월이 사랑시인이 애타게 부르고 있는 ,

했던 여성인 ‘ 오순 ’ 이라는 이름의 여인이었었다고 한다.

 

故 김소월과 ‘ 오순 ’ 이라는 여성은 과연 그 어떤 사이였었을까그렇다면, ?

같은 동네에 살고 있던 살 위의 여자아이인 오순을 만났었다고 한다故 김소월은 십대 초반 때 ,3.

친구 사이의 우정에서 이성간에 느끼게 되는 사랑으로 발전했었다 헌데 둘의 관계는, 한다.

 

남산에 있는 냉천터 폭포수 아래서 몰래 만나기를 즐겨했었다고 한다해서 둘은, .

평탄치가 그러나 두 사람의 사랑은 ,않았었다 한다.

 

친구의 손녀인 ‘ 홍단故 김소월을 키워준 조부가 ,

정혼을 약속해버렸기 때문이었었다고 한다.
조부가 정혼한 대로 맘 속에는 오순에게의해서 故 김소월은 14세가 되던 해,

사랑을 간직한 채로 홍단실과 혼인을 했었다 한다.


해서 故 김소월과 오순은 서로 사랑하지만, 결코 나서는 안될 사이가 되고 말았었다 한다.
故 김소월이 세가 되던 그리고 오순은,19무렵 다른 남자와 결혼을 했었다 한다.
그녀의 결혼은 불행했었었다고 하지만, 한다.

그로 인해 오순은 남그녀의 남편은 의처증이 심했고,

으로부터 가혹한 학대를 받아야만 했었다 한다.
오순이 세상을 떠나버렸었다 그리하여 故 김소월이 22세가 되던 해에,그만 한다.


대꼬챙이처럼 말라죽었었다고 전해지는데 그것헌데 그녀는, ,

김소월에 대한 상사의 아픔 때문이었었다고 한다.
故 김소월은 ‘ 진달래꽃 ’ 에 바로 이 ‘ 초혼 ’ 을 발표했었다그로부터 2, ,.


세가 되던 해 마약덩이를 삼키곤 자살해 버리고 말았었다하지만 故 김소월은, 33.

 

 시인 故 김소월의 ,
그리고 그의 아버지는

정주군과 곽산군을 잇는年 그가살 때 처가로 가던 그의 부친 김성도는헌데 1,904 2 ,
그의 본관은 공주(公州)이며
,본명은 김정식(金廷湜)으로 평안북도 구성에서 출생했었다. , 김성도(金性燾)이며 어머니는 장경숙(張景淑)이었었.
철도 공사장의 일본인 목도꾼들에게 폭행당한 후 정신 이상자가 됐었.

시들 중에 스승 故 김억의


광산을 경영하던 조부의 손에서 컸었다해서 그 이후의 그는, .
이야기의 재미를 가르쳐 주어 큰 영향을 해서 그가 ,끼친

숙모였던 계희영을 만난 것도 이 무렵이었.

남산보통학교를 졸업한 年 오산학교에서 그러면서 그는 ,1,915조만식과

평생 문학의 스승이었던만났었다 김억을 .
격려를 받아年 동인지그리고 그는, 김억의 1,920

‘ 창조호 ’ 에 처음으로 시를 발표했었다 · 5.


오산학교를 다니던 동안 왕성한 작품 활동을 했으며 그리고 또 그는, 1,9

25에는 생전의 유일한 시집인 ‘ 진달래꽃 ’ 을 발간했었다.
또한 그는 오산학교 재학 시절 고향인 구성군 평지면의 홍단실과 결혼했었다1,916,.

오산학교가 문을 닫자 배재고보 학년에 편입해서 졸업했었다3 · 1 운동 이후 ,5.
도쿄 상업대학교에 입학했으나같은 그리고 그는 1,923, ,

월에 관동 대지진이 발생하자중퇴하곤 귀국했었다9, .

서울 청담동에서그리고 이 무렵의 그는, 나도향과

만나 친구가 돼 ‘ 영대 ’ 동인으로 활동했었다.

고향으로 돌아간 후 조부가 경영하던 광산일을 그러면서 그는,

왔으나일이 실패하자 처가인 구성군으로 , 이사했었.


구성군 남시에서 개설한 동아일보 지국그리고 그는,

저 실패하는 바람에 극도의 빈곤에 시달렸었다.


정신적으로 큰 타격을 받곤 술로 세해서 본래 예민했던 그는,

월을 보냈으며친척들로부터도 천시를 , 또한 당했었.

곽산에서 아해서인지 그는 1,934 1224,

을 먹곤 음독자살한 시체로 발견됐었다.

그의 시작(詩作) 노트가 발견헌데 그의 사후 43만인 1,977, 는데실, 그 시작 노트에

이미 발표된 것들이 있어사람들을 놀라게 했었다, .


제자의 시를 자그의 스승이었던 김억이,

신의 시로 둔갑시켜 발표했던 거였었다.

그에게 금관 문화훈장이 추서됐었으1,981,

, 서울 남산엔 그를 기리는 시비가 있다.

 

 

 

Sop, 김영선

 

 

 

 

시인, 故 김소월

 

Sop, 김영선

작곡가, 임긍수 · 김춘환 부부

'한국 가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황덕식 - 애모(哀慕)   (0) 2018.02.14
故 김동진 - 못 잊어  (0) 2018.02.14
임긍수 - 그대, 창 밖에서  (0) 2018.02.09
임긍수 - 강 건너 봄이 오듯  (0) 2018.02.06
故 채동선 - 그리워  (0) 2018.02.06

관련글 더보기